본문 바로가기

정보꿀팁

색채 선호의 원리와 유형2

대상에 따른 색채선호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여 제품의 특성을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종류에 따라 차별화된 색을 적용한다. 제품의 색채 선호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신소재, 디자인, 유행에 따라 변화한다. 색에 대한 일반적인 선호 경향과 특정 제품에 대한 선호 경향은 같지 않으며 제품별로 색에 대한 선호 경향은 다르게 나타난다. 선호 색채는 사용자의 라이프 스타일을 반영하는 특성이 있다.

자동차의 색채는 지역 환경, 빛의 강약, 자연환경, 생활패턴 등에 따라 선호 경향이 다르게 나타난다. 자동차의 경우 대형차인지 소형차인지에 따라서 현저하게 다른 색채 선호 경향을 보이는데, 한국의 경우 대형차는 검정을 중심으로 어두운 색채가 주를 이루고 소형차는 밝고 경쾌한 색채를 스포츠카는 선명한 빨강과 같이 고채도의 색채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일본의 경우에는 흰색의 선호 경향이 두드러진다.

 

성별 및 지적 수준에 따른 색채 선호

남성과 여성의 선호색에는 차이가 있다. 동일한 제품이라도 남성에 비해 여성은 파스텔 톤과 같이 밝은 톤의 난색 계열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남성은 비교적 어두운 톤의 청색, 갈색 그리고 회색을 선호하고 여성은 밝고 맑은 브라이트 또는 페일 톤의 색을 좋아한다. 이와 같이 남성과 여성의 선호색이 다르기 때문에 제품 구매자의 성별에 따라 선호 색채를 파악하여 사용하면 마케팅에 있어 효과가 증대된다. 한편 지적 능력이 낮은 사람일스록 원색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고 지적 능력이 높은 사람일수록 일반적으로 저채도이면서 단파장 계열의 색을 좋아한다고 한다. 연령이 낮을수록 원색 계열과 밝은 톤을 선호하다가 성인이 되면서 단파장의 파랑 초록을 점차 조아하게 되는 색채 선호도 변화의 이유도 지적 능력의 증대와 관련이 있다.

'정보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색채와 효과  (0) 2021.04.12
색채의 기능  (0) 2021.04.11
색채 선호의 원리와 유형  (0) 2021.04.09
색채와 인문환경  (0) 2021.04.08
문화발달과 색채어휘  (0) 2021.04.07